2021년 경영의 핵심은 ‘ESG’

[Please Click to See English Version ]

 

최근 ‘ESG’는 경영계의 최고 이슈 중 하나이다. ESG 경영, ESG 펀드, ESG 지표 등 ESG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키워드가 수면위로 올라오는 상황에서 2020년에는 코로나 사태(COVID-19 Pandemic)로 인한 폭락장에서도 ESG 펀드는 일반 펀드와는 반대로 수익은 상승세를 유지해 세계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그렇다면 이토록 이슈가 되는 ESG란 대체 무엇인가?

 

ESG’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로 기업의 행동이 환경과 사회에 어떻게, 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낸다. 각각의 요소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E), 노동자의 건강, 안전, 다양성을 비롯한 사회적 영향(S), 기업 윤리, 주주의 권리, 임원 성과 보상 정책 같은 지배구조(G)로 구성된다.

 

이는 기존에 존재하던 소극적·책무적 성격이 강하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개념이 확장되어 구체적 지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나아간 것이다.

 

이전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끊임없이 요구되어 왔으나, 기업에 있어 이는 선택적인 것에 불과할 뿐, 우선적이고 필수적인 고려사항은 아니었다. 그러나, 2021년 이러한 흐름은 완전히 뒤집혔다. 최근 투자자들은 투자를 결정하면서, 전통적인 기업의 투자지표인 재무적 정보(매출, 영업이익) 이외에 새로운 지표인 ESG 지표를 고려하기 시작했다.

 

미국 공인재무분석사(CFA)인스티튜트는 `지속가능한 투자 관리의 미래(2021)’라는 보고서를 내고 ESG 투자가 주류 단계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이 기관이 2,800여 명 회원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이들 중 85% ESG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고 답해 2017(73%)보다 10%포인트 이상 증가한 점을 알 수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글로벌 ESG 채권 규모는 2014 710억 달러에서 2019 4,658억 달러로 5년 동안 6배 가량 증가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최고경영자(CEO) 래리 핑크는 2020년 초 "ESG 성과가 나쁜 기업에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등 기업들은 이제 ESG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투자조차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더욱이 재생에너지를 강조하며 탄소조정세를 도입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조 바이든 정부가 공식 출범하면서 앞으로 ESG는 더 강력한 투자지표가 될 전망이다.

 

한국의 상황은 더욱 급박하게 돌아간다. 국내 원화 ESG 채권 규모는 2018 1 2500억 원에서 1년 뒤인 2019년에는 28 3,304억으로, 무려 22배가량 증가했다. 국내 기업들 또한 ESG 투자 동향을 의식한 듯 2021년 초부터 ESG 경영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삼성전자 DS 부문은 이르면 2021년부터 ESG를 사업장 평가 기준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삼성 이외에도 SK 등 제조업 기업들은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IT 기업들은 인권을 비롯한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경영체제를 정비하고 있는데,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우 ESG 전담팀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NH투자증권을 비롯한 금융계는 ESG 기업평가를 진행하는 등 ESG는 분야를 막론한 이슈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오는 2025년부터는 자산 2조 원 이상인 유가증권 시장 상장사는 ESG 활동 내역을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한다. 이어서 2030년에는 모든 상장사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흐름에 기업들은 당장 부담을 느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기업에게도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경제포럼 자료에 따르면 리스크의발생 가능성영향력측면에서 환경·사회 등 비재무적인 요소들이 더욱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SCI 자료에 따르면 ESG 관리 수준이 높은 기업은 낮은 기업에 비해 기업 고유 위험(Idiosyncratic Risk)과 체계적 위험(Systematic Risk)이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업 측면에서도 리스크 관리를 위한 ESG 경영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패션업계와 ESG

글로벌 섬유·패션업계 내에서도 ESG 경영은 당연히 화제의 중심에 서 있다. 패션업계는 이미 주요 환경오염 유발 산업 중 하나로 지목되었고 이러한 오명을 씻기 위해 패션팩트(Fashion Fact), 패션스위치(Fashion SWITCH) 캠페인 등 다양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지 출처 = fashion pact>
 

2020년에는 패션산업 공개서한 연판장(Open Letter to the Fashion Industry)에 구찌, 겐조, 디올, 버버리, 끌로에, 질샌더, 톰브라운 등 약 700개의 다양한 패션 기업들이지속 가능한 새로운 비즈니스 혁신 운동에 지지 선언을 하기도 했다. 이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경제적 타격을 받은 섬유·패션업계가 자체적으로 변화를 주도해가고자 하는 공개서한 형태의 캠페인이다.

 

기업 차원의 노력도 돋보인다. 파타고니아, 유나이티드 바이 블루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은 ESG 경영과 지속가능한 패션을 위해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윤리적 공정을 추구하며, 투명한 경영을 위해 지속가능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발표해오고 있다.

 

구체적으로 파타고니아는 현재까지 전 제품의 70%를 플라스틱 병 등을 재활용한 원료를 사용해 제작하거나 1986 년부터 자연환경 보호에 연간 매출의 1 % 이상을 기부해왔다. , 의류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Don’t buy this jacket’ 광고 캠페인을 통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유나이티드 바이 블루(united by blue)는 해양보호에 초점을 맞춘 아웃도어 브랜드로 1개 제품 판매 당 바다와 수로에서 1파운드씩 쓰레기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해 실천해오고 있다. 더욱이 매년 해양보존을 위한 자원봉사 캠페인을 주최하여 소비자는 이들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지구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한국의 패션기업들도 이미 ESG 경영을 시행하고 있거나 곧 시행을 계획 중이다. 현재 ESG 평가 기관인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에 따른 2020 4분기 기준 ESG 등급을 받은 기업은 총 963곳이다. 이 중 섬유·패션 상장사는 50여 개 정도로, 한국에서의 ESG 관련 논의가 활발해짐에 따라 이 숫자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ESG 경영이란 무엇이고, 세계적인 흐름은 어떠한지, 또 그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코로나 사태를 맞아 ESG 경영은 2021년 경영의 핵심으로 급속히 자리 잡을 것이다. 급변하는 정세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섬유패션업계 또한 ESG를 경영의 중심전략으로 삼아 기업체제를 재편해야 할 것이다.

 

아래에 있는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패션계의 ESG 경영과 관련된
다양한 소식을 격주로 발송해 드립니다.

 [구독하기]

 

 

[The English version]

The key to successful management in 2021 is ‘ESG’

 

Recently,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business management is 'ESG'. While keywords like ESG management, ESG funds, ESG indexes rise to the surface, ESG funds caught an investor's eyes because they kept rising trends in the bear marke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as opposed to the other funds. So, what on earth is ESG?

 

 

'ESG' means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which are non-financial factors of a company and it shows how and how much the company affects the environment and society. Each factor consist of environmental impact(E), social impacts such as welfare and safety of laborers (S), governance like business ethics, rights of stockholders, and incentive policy(G).

 

This is a further concept of existing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hich was passive and responsible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with specific indicators. Although CSR has been required before, however, it has been nothing more than a choice for many companies, not an essential thing.

 

However, the tide has been turned since 2021. Recently, Investors have started to consider ESG standard the new indicator other than financial information(sales, operating profit), a traditional corporate investment indicator when they make a decision.

 

According to the report, 'Future of Sustainability in Investment Management(2021)' by the CFA Institute they diagnosed ESG investing is entering the mainstream. According to the survey, 85% of CFA Institute members now take ESG factors into consideration in their investing, up from 73% in 2017.

 

According to Bloomberg, global ESG bond volume has increased six times in five years from $71 billion in 2014 to $465.8 billion in 2019. Larry Fink, CEO of the world's largest asset manager BlackRock said "BlackRock will immediately stop investing in companies that present a high sustainability-related risk" which means it's almost impossible to be invested without considering ESG.

 

Besides, the Biden government that emphasized renewable energy and was eager to adopt a carbon tax is officially launched, ESG would be a stronger indicator for investment.

 

The situation in Korea is working quickly. The volume of Korean ESG bonds increased 22 times from 1.25 trillion won in 2018 to 28.33 trillion won in 2019. Also, Korean companies are announcing ESG management plan, as if they are aware of a trend of ESG investing. Samsung Device Solutions said they are going to use ESG as a standard for valuation in the workplace.

 

Other than Samsung, manufacturing companies such as SK are scrambling to present an eco-friendly energy policy. IT companies are checking management systems around social responsibility like human rights, even Naver and Kakao set ESG taskforce. The financial world including NH Investment & Securities has carried out ESG company valuation and this means ESG management is a big issue, regardless of fields.

 

Meanwhile, a listed company with assets of more than ₩2 trillion will be supposed to post their contents of ESG activities from 2025. It is expected to expand to all listed companies by 2030. Companies may feel burdened immediately, but it is expected to be positive for companies in the long run.

 

According to a World Economic Forum report, non-financial factor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society account for a larger portion in terms of the "probability" and "influence" of risks. Besides, MSCI found that companies with high ESG management levels have lower levels of both Idiosyncratic Risk and Systematic Risk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ESG management levels. What it means is that ESG management is inevitable for a company to manage risks.

 

Fashion industry and ESG

Also, within the global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ESG management is at the center of attention. The fashion industry has already been blamed for pollution, it has been trying to make an effort such as Fashion Fact and Fashion SWITCH to live that down.

 

<Image = fashion pact>

 

In 2020, more than 700 companies -such as GUCCI, Kenzo, Dior, Burberry, Chloé, Jil Sander, and Thom Browne- have signed a sustainable business campaign, 'Open Letter To The Fashion Industry'. That is what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which have been hit economically by pandemic, want to make changes.

 

A corporate effort also stands out. Global fashion brands like Patagonia and united by blue produce garments with eco-friendly materials, pursue ethical production and post sustainability reports regularly for transparent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Patagonia has switched 70% of its goods to renewable sources like plastic bottles and pledged 1% of sales to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since 1985. Moreover, it was the talk of the town through its advertisement, ‘Don’t buy this jacket’ to reduce consumption of unnecessary garments.

 

United by Blue is an outdoor brand focused on marine conservation and has been practicing to remove 1 pound of trash from the sea and waterways per product sold. Furthermore, each year, it holds a volunteer campaign for marine conservation so that consumers can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through them directly and indirectly.

 

Korean fashion companies are already running ESG or are planning to implement it soon. According to KCGS(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that evaluates a company with ESG, a total of 963 companies received ESG score in the fourth quarter of 2020. Among them, there are about 50 listed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and the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as ESG-related discussions in Korea become more active.

 

So far, we have looked at what ESG management is, how the trends are now, and its real examples. After the pandemic, ESG management will become   ‘the key to successful management in 2021.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also will have got to reorganize companies around ESG to survive in this world.

 

Subscribe to our newsletter and get the latest news on ESG in the fashion industry biweekly!

 [SUBSCRIBE] 

 

 

 

 

[본문 참고 References] 

기업의 새로운 투자지표 ESG, 한국경제, 2020.11.22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011183838i

[투자노트] 바이든 시대, ESG 선택 아닌 필수, 조선비즈, 2021.01.21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21/2021012100606.html

ESG경영이젠 선택이 아닌 필수’, tin뉴스, 2021.01.03

http://www.tinnews.co.kr/19934

삼성전자, 사업부 평가때 'ESG 성적'부터 따진다, 한국경제, 2020.10.13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101347971